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48)
스탠 와인스타인, 주식의 생애 주기 네 단계 “다음을 기억하라. 어떤 주식이든 네 단계 중 하나에 위치해 있다. 비결은 어느 단계인지 구별하는 능력을 갖추는 것이다.” -스탠 와인스타인 아래 표를 통해 현재 거래하려는 주식이 어느 단계에 있는지 살펴보자. Staging을 기술적 분석의 시작점으로 삼아도 좋다. Stage 1 : The Basing Area Stage 2 : Advancing Phase Stage 3: The Top Area Stage 4: The Declining Phase 차트 -Base를 형성하면서 거래량이 말라간다. -30주 이동평균선이 이전의 하향세에서 벗어나 평평 해진다. -30주 이동평균선 위 아래로 가격이 왔다 갔다 한다. -Trading range 안에서의 상승과 하락이 반복된다. 이는 보통 몇 개월에서, 간혹 몇 년..
주식연계채권(CB, BW, EB) : 제대로 해석해야 급락을 피한다 주식연계채권에는 크게 CB(전환사채), BW(신주인수권부사채), EB(교환사채)가 있다. 서로 차이가 있지만 주식투자자가 중점적으로 봐야 할 것은 “옵션이 행사되었을 때 주식수가 얼마나 늘어나는가?” 다. 주식이란 회사에 대한 권리를 쪼개 놓은 것이다. 그 수가 늘어난다면 주식의 절대적인 가치는 낮아진다. 시장이 옵션 행사 소식을 어떻게 받아들이는가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주가는 하락한다. 주식수가 크게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충격이 강한데, HMM이 그 실례다. HMM은 해양진흥공사의 전환권 청구로 지분율에 17%에 해당하는 주식이 증가했다. 공시 다음 날 주가는 9% 급락했다. 주식연계채권 확인방법 “A(가명)”라는 회사의 실제 공시 자료를 분석하면서 주식연계채권을 확인해보자. 자본금 변동사항 우선 정기 ..
Keltner Channel(켈트너 채널) : 상승과 하락 추세를 판단하는 도구 Keltner Channel(켈트너 채널)은 변동성 기반 밴드의 일종이다. Keltner Channel에서 변동성 지표로는 average true range(이하 ATR)을 사용한다. 가격의 exponential moving average(이하 EMA)를 중간 선으로 삼고 거기에 ATR을 더하고 뺀 값이 각각 상선 하선이 된다. ATR : 이전 글 참조. ATR(Average True Range)의 정의와 공식 EMA : 이동평균선의 일종이다. 단순 이동평균선과 다르게 최근 데이터일수록 더 높은 가중치를 부여한 값으로 평균을 구한다. Keltner Channel 공식(feat.영웅문) 영웅문 차트에서 우클릭 후 수식 관리자로 들어가면 수식을 작성할 수 있다. eavg는 EMA를 구하는 공식이다. c는 종..
주식, 장세 판단하기 : 상승장과 하락장에 대한 기준을 세워보자 누구나 상승장에서 거래하고 하락장을 피하고 싶지만 쉽지 않다. 상승장과 하락장이라는 용어 자체부터 모호하다. 그러나 트레이더라면 2002년, 2008년, 2020년 같은 폭락장은 피할 수 있어야 한다. 저점과 고점을 정확히 예측할 수는 없어도 현재 상황을 해석하고 적절한 대응을 할 줄 알아야 한다. 이전 강세장에서 얻은 이익을 최대한 비축해두었다가 더 큰 판돈으로 다음 게임에 참가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시황을 판단하는 자신만의 방법과 기준을 구비해둘 필요가 있다. 아래에 시황 판단에 도움이 될 만한 자료를 모아 봤다. “Trade like a stock market wizard” 장세에 대한 판단은 없지만 주식 사이클의 네 단계에 대해 설명한다. Stage 1—방치 단계: 횡보 Stage ..
주식 매도 전략 : 이익이 난 주식의 매도 내게 큰돈을 벌어줬던 것은 내 생각이 아니었다. 비결은 엉덩이들 딱 붙이고 앉아 있는 것이었다. – 제시 리버모어 It never was my thinking that made the big money for me. It was always my sitting. – Jesse Livermore “매수는 기술이요 매도는 예술이다.” 주식시장의 오랜 격언이다. 예술로 분류될 만큼 이익이 나는 포지션을 청산하는 것은 어렵다. 누구나 손실은 짧게, 수익은 길게 가져가야 한다는 것은 알지만 그것 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수익은 얼마나 길게, 또 얼마나 크게 가져가야 하는가? 이익 포지션 청산에 대한 아이디어를 한데 모아봤다. 잭 슈웨거, “기술적 분석 모르고 절대 주식투자하지 마라”, 이레미디어 책의 10장과 1..
5분만에 이해하는 전환사채 전환사채의 정의, 특징, 발행 이유, 회계처리에 대해 알아본다. 정의 전환사채는 발행회사의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특약 또는 선택권(option) 붙어 있는 사채다. 보통 사채처럼 채무자가 채권자에게 확정 이자를 지급하지만, 주가가 올라 돈 대신 주식으로 받는 게 이득인 경우 채권자는 채권을 회사의 주식으로 바꿀 수 있다. 전환사채의 5가지 특징 1. 투자자나 발행자의 상환청구권 보유 여부 상환청구권을 투자자가 보유할 시 풋옵션. 발행자가 보유할 시 콜옵션이라고 부른다. 보통 투자자가 옵션을 갖는다. 풋옵션은 쉽게 말해 "망하기 전에 빌려준 돈 돌려 달라"라고 투자자가 기업에 요구하는 것이다. 2. 전환 가격의 결정 주식으로 바꿀 때 적용하는 주당 가격이 전환가액이다. 전환가액이 낮아질수록 채권자는 같..
Relative strength(상대강도) Relative strength(상대 강도, 이하 RS)는 가격 모멘텀을 측정하는 도구 중 하나다. RS가 높다는 것은 주식의 실적 또는 기대감을 시장이 인식했다는 신호다. RS는 그 지속성이 전제다. 계산(Calculation) 기간은 정하기 나름이다. 보통 주간/월간/연간 RS를 측정한다. 주로 지수대비 특정 주식의 퍼포먼스를 구한다. 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다. (Ending stock price/Beginning stock price) / (Ending index value/Beginning index value) Ending stock price : 측정 시점에서 주가 Beginning stock price : 시작 시점에서 주가 Ending index price : 측정 시점에서 지수 Begin..
최대주주 변경을 수반하는 주식 담보 제공 계약 체결 종종 "최대주주 변경을 수반하는 주식 담보제공 계약 체결" 공시를 볼 수 있다. 공시의 의미를 하나씩 살펴보자. 최대주주 변경을 수반하는 주식 담보제공 계약 체결 '주식 담보제공 계약'은 주식 담보대출을 뜻한다. 채무자는 채권자에게 주식을 담보로 제공하고 저금리로 돈을 빌려온다. 또한 주식담보대출은 재산권만을 담보로 맡기는 것이기 때문에 의결권은 유지된다는 이점이 있다. 오너들이 ‘회사 운영자금’, ‘신사업 투자’, ‘시설자금’, ‘인수금융’, ‘주식(지분) 취득’ 등의 목적으로 주식담보 대출을 자주 활용한다. '최대주주 변경을 수반한다'는 것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기업 오너가 주식 담보 대출을 받을 때, 만약 담보로 잡힌 주식수만큼 지분이 줄어들 경우 최대주주가 변경되는 경우를 뜻한다. 그렇다면 언제..
시장의 방향(Market direction)에 대한 고찰과 나름의 결론 시장의 방향을 등에 업고 거래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1) 주식의 75%는 시장의 방향과 그 방향을 같이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강세장(Bull market)에서만 거래한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닌데, 여기에는 심리적인 원인과 본질적인 원인이 있다. 먼저 심리적인 원인으로는 강세장이라 불릴만한 때가 드물다는 것이다. (2) 제시 리버모어에 따르면 불마켓이라고 할만한 강세장은 고작 4~5년에 한번이다. (3) 반 타프 박사에 따르면 시장은 2/3은 횡보하고, 1/6은 하락하며, 1/6에서만 상승한다. 본질적인 원인으로는 정상적 혹은 비정상적 조정과 하락장의 시작을 구분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2) 제시 리버모어는 간간히 있는 불마켓과 베어마켓 사이에 여러 번의 짧은 추세가 존재한다고 묘사했다. 강세..
6. 백만 달러의 손해 : 보편적 거래 규칙 5 가지 제시 리버모어가 백만 달러의 손해를 보면서 깨달은 보편적 거래 규칙이 서술된 장이다. 1. 추가 매수는 이전 매수가 보다 높은 가격에서 한다. 추가 매수는 이전 매수가 보다 높은 가격에서 한다. 공매도를 한다면 추가 매도는 더 낮은 가격에서 한다. 옳았던 거래는 이익으로 증명해준다. 옳은 거래에서만 추가 매수를 함으로써 계속 옳은 편에 서 있을 수 있다. 2. 어느 가격에 진입할 것인지 미리 정해 둔다. 어느 가격에 진입할 것인지 미리 정해 둔다. 동시에 얼마만큼의 리스크를 감당할 것인지 정한다. 두세 차례 실패할 수도 있지만 전환점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재진입한다면 진짜 움직임이 일어날 때 추세를 탈 수 있다. 3. 세심한 타이밍은 필수적이다. 세심한 타이밍은 필수적이다. 조급함에는 비싼 대가를몇 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