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48)
1편. 이동평균선의 올바른 사용 Art and science of technical analysis(아담 그림스)에 나온 이동평균선에 관한 내용이다. 골자는 다음과 같다. 0. 이동평균선에 대한 오해 1) 이동평균선을 지지와 저항선으로 보는 것 2) 가격의 이동평균선 돌파를 주요 시그널로 인식하는 것 저자는 테스트 결과, 해당 사항들은 통계적 유효성이 없고 어느 한 이평선이 다른 이평선보다 우월하다는 증거 또한 찾지 못했다고 한다. 그러면서 이평선에 대한 실용적인 사용법은 아래와 같이 제시하고 있다. 1. 추세 지표(Trend indicatior)로 쓰기 이동평균선을 추세를 확인해주는 보조지표로 쓸 수 있다.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이동평균선의 위나 아래 중, 어느 한쪽에 오래 머문다면 추세가 그 방향이라는 의미로 해석 2) 이동평..
Trend alignment (추세 정렬) 참고 : Technical analysis using multiple timeframes(Brian Shannon) Trend alignment(추세 정렬)는 추세 내에서 손익비가 높은 지점을 찾기 위해 여러 타임프레임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저자는 추세매매가 실패하는 이유를 크게 두 가지로 나눴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1. 올바른 추세를 거래하지 않는다. 2. 늦은 진입. 이미 단기적 움직임이 발생한 이후 진입한다. Trend alignmemt는 다우 이론이 제시한 세 가지 타임프레임의 추세를 고려해, 위와 같은 리스크를 줄인다.(Primary trend/Secondary trend/Minor trend. 자세한 설명은 여기) 각 프레임별로 역할이 다르다. 용도 Investor Swing trader D..
다우이론(Dow theory) 본 글은 다우존스 지수를 만든 찰스 다우의 "다우이론(Dow theory)"에 대한 글이다. 다우이론은 현대 기술적 분석의 시발점이기 때문에 중요하다. Victor seperando의 "Methods of a wallstreet master(1988)"을 참조하였다. Intro 시장은 수많은 개인들도 구성된다. 각 개인이 언제 어떻게 반응할지 정확히 예측하기란 불가능하다. 그러나 이런 혼돈(chaos) 속에도 질서가 있다. 이 질서를 찾는 게 투기꾼(speculator)의 일이다. 다우 이론은 의사의 심전도와 기상청의 기압계와 같다. 확률 범위 내에서 미래를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되는 도구다. 원인과 미래를 보여주지는 않지만, 변화의 전조를 읽고 일어날 수 있는 일에 대한 전체적 그림을 그리는데 유용하다...
Cup with handle failure 출처 Failed Breakout Can Give Insight Into A Base's Flaws | Stock News & Stock Market Analysis - IBD (investors.com) - Base에서 institutional activity가 accumulation보다 distribution에 가깝다. - 주봉상에서 하락이 평균 이상의 거래량을 동반했다. - 특히 handle에서 두드러진다. 돌파 전 거래량이 마르는 대신 큰 거래량을 동반한 음봉이 관찰된다. - Handle에서의 하락도 거의 15%다. 12%가 적당하다. Breakout failure - 실제로 실패한 돌파라도, 성공할 여지가 있다. - 많은 훌륭한 돌파 패턴들이 8% 이상의 되돌림을 겪고 다시 매수 지점을 회복한 ..
Major 와 minor 기술적 분석 책에 자주 나오는 용어다. Major high, minor high. Major low, minor low. 읽을 때는 '음~ 그렇구나' 하면서 읽는데, 막상 차트를 분석하려면 헷갈린다. 어디서부터 어디까지가 Major고 minor인가? 불코우스키의 사이트에 관련 글이 있어서 가져와 봤다. (원글) Minor Highs and Lows (thepatternsite.com) Minor Highs and Lows As of 02/04/2022 Indus: 35,090 -21.42 -0.1% Trans: 15,214 -254.77 -1.6% Utils: 942 -8.41 -0.9% Nasdaq: 14,098 +219.19 +1.6% S&P 500: 4,501 +23.09 +0.5% YTD -3.4..
Jesse C.Stine, 실수로부터의 배움 MJ 드마코는 그의 저서 "부의 추월차선"에서 똑똑한 사람은 자신의 실수로부터 배우고, 현명한 사람은 다른 사람의 실수로부터 배운다고 했다. Jesse C.Stine는 그의 저서 "Insider Buy Superstocks" 14장에서 자신의 실수들로부터 배운 것에 대해 말한다. 아래는 그가 배운 교훈 14가지와 그에 대한 내 생각을 간단히 달아 둔 것이다. 1 – 바이오 동전주에 대한 “HOT TIPS” 따위를 듣거나 아무것도 모른 상태에서 투자하지 않는다. 100% 받아 들여도 되는 내용이다. 주식으로 돈 좀 만졌다는 사람들은 하나 같이 소문 주를 경계하라고 한다. 2 – 쿨에이드(Kool-aid)를 마시지 않는다. 다시 말해 무언가에 대해 맹목적인 믿음을 가지지 않는다. 쿨에이드를 마신다는 것은 무..
주식 거래에서의 단순함(Simplicity)에 대하여 알렉산더 엘더는 그의 저서 "A new trading for living"에서 개인투자자들이 갖는 잘못된 믿음들에 대해 지적한다. 그중 하나가 "두뇌 신화(Brain myth)"다. "...거래에 비밀 따위는 없다. 패자는 거래가 지적으로 간단하다는 것을 모른다. 좋은 트레이더들은 대부분이 잽싸지만, 아주 소수만 지적이다..." 나는 이 문장이 가슴 깊이 와 닿았고 거래 로그(log) 노트 한 켠에 적어 뒀었다. 그러다 어느날 Jesse C.Stine의 책을 읽게 되었는데, 거래에서의 단순함에 대해 꽤 많은 지면을 할애한 것을 발견했다. 다른 투자자, 트레이더, 위인들 또한 단순함을 강조했다는 것을 인용문에서 알 수 있었다. 개중 마음에 드는 인용문 몇 가지를 아래 옮겼다. “보통 최고의 전략은 굉장히 ..
되돌림 때 사기(Buying on pullback) - IBD의 설명 IBD 유튜브에 되돌림 때 사는 방법에 대해 나와 있었다. IBD는 '최고의 주식 최적의 타이밍'의 저자 윌리엄 오닐이 설립했다. IBD의 설명이 책과 크게 다르지는 않지만 가이드라인 형태로 잘 요약되어 있어서 가져왔다. How To Buy Stocks On A Pullback - YouTube 되돌림 거래의 의의 되돌림은 이미 강한 움직임을 증명한 시장 주도주를 살 기회를 제공한다. 거래조건(Setups) 1. 주식의 시장 주도주에 알맞는 펀더멘털을 지녀야 한다. 2. 되돌림 이전에 큰 거래량을 동반한 돌파가 있었어야 한다. 3. 50일 또는 10주 이동평균선까지 되돌림 이후에, 이평선 위로 큰 거래량과 함께 상승해야 한다. 4. 시장이 상승장이다. 거래전략 1. 돌파 때보다 더 적은 수량을 산다. 2..
되돌림 때 사기(Buying on pullback) – MACD와 Stochastic 돌파 이후 되돌림에서 비교적 안전하게 매수하려면, 되돌림 이후 반전 신호가 나올 때 매수해야 한다. 이에 MACD와 Stochastic이 유용하다는 인터뷰가 있어서 두 보조지표에 대해 알아봤다. 되돌림(Pullback)에서의 거래 MACD 요약 -MACD는 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 다. 추세 추종 모멘텀 지표의 일종으로 두 이동평균선 간 관계를 보여준다. -상승 추세 이후 되돌림에서 MACD가 Signal line을 상향 교차하면, 이전의 상승 추세를 지속할 가능성이 높다. 1. MACD의 정의와 계산법 MACD는 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 로 추세 추종 모멘텀 지표의 일종으로 두 이동평균선 간 관계를 보여준다. (Con..
되돌림(Pullback)에서의 거래 Trading range 돌파 이후 되돌림(pullback)에서 거래하는 것이 고민이다. 되돌림 이전의 돌파가 확실한 돌파였고 되돌림 시에 거래량이 줄어들었다면 매수하는 것도 괜찮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주가가 돌파 지점까지 되돌림 하는 것은 흔한 일이기 때문이다. 되돌림에서의 거래를 전업 트레이더들은 어떻게 하는지 찾아봤다. Q1)되돌림에서 거래하는가? Minervini : 때때로 이전 돌파지점까지의 되돌림에 사기도 한다. 그리고 드물게 50일 이동평균선으로의 되돌림 때 사기도 한다. 돌파든 되돌림이든 위험이 낮은 자리라면, 그리고 전략이 제대로 통한다면 산다. Ryan: 시장 상황에 따라 다르다. 주가가 요동치는 상황이라면 되돌림 때 자주 산다. 돌파가 실패할 가능성이 많기 때문이다. 강세장에서는 되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