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적의 타이밍 (35) 썸네일형 리스트형 Cup with handle failure 출처 Failed Breakout Can Give Insight Into A Base's Flaws | Stock News & Stock Market Analysis - IBD (investors.com) - Base에서 institutional activity가 accumulation보다 distribution에 가깝다. - 주봉상에서 하락이 평균 이상의 거래량을 동반했다. - 특히 handle에서 두드러진다. 돌파 전 거래량이 마르는 대신 큰 거래량을 동반한 음봉이 관찰된다. - Handle에서의 하락도 거의 15%다. 12%가 적당하다. Breakout failure - 실제로 실패한 돌파라도, 성공할 여지가 있다. - 많은 훌륭한 돌파 패턴들이 8% 이상의 되돌림을 겪고 다시 매수 지점을 회복한 .. Major 와 minor 기술적 분석 책에 자주 나오는 용어다. Major high, minor high. Major low, minor low. 읽을 때는 '음~ 그렇구나' 하면서 읽는데, 막상 차트를 분석하려면 헷갈린다. 어디서부터 어디까지가 Major고 minor인가? 불코우스키의 사이트에 관련 글이 있어서 가져와 봤다. (원글) Minor Highs and Lows (thepatternsite.com) Minor Highs and Lows As of 02/04/2022 Indus: 35,090 -21.42 -0.1% Trans: 15,214 -254.77 -1.6% Utils: 942 -8.41 -0.9% Nasdaq: 14,098 +219.19 +1.6% S&P 500: 4,501 +23.09 +0.5% YTD -3.4.. 되돌림 때 사기(Buying on pullback) - IBD의 설명 IBD 유튜브에 되돌림 때 사는 방법에 대해 나와 있었다. IBD는 '최고의 주식 최적의 타이밍'의 저자 윌리엄 오닐이 설립했다. IBD의 설명이 책과 크게 다르지는 않지만 가이드라인 형태로 잘 요약되어 있어서 가져왔다. How To Buy Stocks On A Pullback - YouTube 되돌림 거래의 의의 되돌림은 이미 강한 움직임을 증명한 시장 주도주를 살 기회를 제공한다. 거래조건(Setups) 1. 주식의 시장 주도주에 알맞는 펀더멘털을 지녀야 한다. 2. 되돌림 이전에 큰 거래량을 동반한 돌파가 있었어야 한다. 3. 50일 또는 10주 이동평균선까지 되돌림 이후에, 이평선 위로 큰 거래량과 함께 상승해야 한다. 4. 시장이 상승장이다. 거래전략 1. 돌파 때보다 더 적은 수량을 산다. 2.. 되돌림 때 사기(Buying on pullback) – MACD와 Stochastic 돌파 이후 되돌림에서 비교적 안전하게 매수하려면, 되돌림 이후 반전 신호가 나올 때 매수해야 한다. 이에 MACD와 Stochastic이 유용하다는 인터뷰가 있어서 두 보조지표에 대해 알아봤다. 되돌림(Pullback)에서의 거래 MACD 요약 -MACD는 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 다. 추세 추종 모멘텀 지표의 일종으로 두 이동평균선 간 관계를 보여준다. -상승 추세 이후 되돌림에서 MACD가 Signal line을 상향 교차하면, 이전의 상승 추세를 지속할 가능성이 높다. 1. MACD의 정의와 계산법 MACD는 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 로 추세 추종 모멘텀 지표의 일종으로 두 이동평균선 간 관계를 보여준다. (Con.. 되돌림(Pullback)에서의 거래 Trading range 돌파 이후 되돌림(pullback)에서 거래하는 것이 고민이다. 되돌림 이전의 돌파가 확실한 돌파였고 되돌림 시에 거래량이 줄어들었다면 매수하는 것도 괜찮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주가가 돌파 지점까지 되돌림 하는 것은 흔한 일이기 때문이다. 되돌림에서의 거래를 전업 트레이더들은 어떻게 하는지 찾아봤다. Q1)되돌림에서 거래하는가? Minervini : 때때로 이전 돌파지점까지의 되돌림에 사기도 한다. 그리고 드물게 50일 이동평균선으로의 되돌림 때 사기도 한다. 돌파든 되돌림이든 위험이 낮은 자리라면, 그리고 전략이 제대로 통한다면 산다. Ryan: 시장 상황에 따라 다르다. 주가가 요동치는 상황이라면 되돌림 때 자주 산다. 돌파가 실패할 가능성이 많기 때문이다. 강세장에서는 되돌.. 스탠 와인스타인, 주식의 생애 주기 네 단계 “다음을 기억하라. 어떤 주식이든 네 단계 중 하나에 위치해 있다. 비결은 어느 단계인지 구별하는 능력을 갖추는 것이다.” -스탠 와인스타인 아래 표를 통해 현재 거래하려는 주식이 어느 단계에 있는지 살펴보자. Staging을 기술적 분석의 시작점으로 삼아도 좋다. Stage 1 : The Basing Area Stage 2 : Advancing Phase Stage 3: The Top Area Stage 4: The Declining Phase 차트 -Base를 형성하면서 거래량이 말라간다. -30주 이동평균선이 이전의 하향세에서 벗어나 평평 해진다. -30주 이동평균선 위 아래로 가격이 왔다 갔다 한다. -Trading range 안에서의 상승과 하락이 반복된다. 이는 보통 몇 개월에서, 간혹 몇 년.. Keltner Channel(켈트너 채널) : 상승과 하락 추세를 판단하는 도구 Keltner Channel(켈트너 채널)은 변동성 기반 밴드의 일종이다. Keltner Channel에서 변동성 지표로는 average true range(이하 ATR)을 사용한다. 가격의 exponential moving average(이하 EMA)를 중간 선으로 삼고 거기에 ATR을 더하고 뺀 값이 각각 상선 하선이 된다. ATR : 이전 글 참조. ATR(Average True Range)의 정의와 공식 EMA : 이동평균선의 일종이다. 단순 이동평균선과 다르게 최근 데이터일수록 더 높은 가중치를 부여한 값으로 평균을 구한다. Keltner Channel 공식(feat.영웅문) 영웅문 차트에서 우클릭 후 수식 관리자로 들어가면 수식을 작성할 수 있다. eavg는 EMA를 구하는 공식이다. c는 종.. 주식, 장세 판단하기 : 상승장과 하락장에 대한 기준을 세워보자 누구나 상승장에서 거래하고 하락장을 피하고 싶지만 쉽지 않다. 상승장과 하락장이라는 용어 자체부터 모호하다. 그러나 트레이더라면 2002년, 2008년, 2020년 같은 폭락장은 피할 수 있어야 한다. 저점과 고점을 정확히 예측할 수는 없어도 현재 상황을 해석하고 적절한 대응을 할 줄 알아야 한다. 이전 강세장에서 얻은 이익을 최대한 비축해두었다가 더 큰 판돈으로 다음 게임에 참가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시황을 판단하는 자신만의 방법과 기준을 구비해둘 필요가 있다. 아래에 시황 판단에 도움이 될 만한 자료를 모아 봤다. “Trade like a stock market wizard” 장세에 대한 판단은 없지만 주식 사이클의 네 단계에 대해 설명한다. Stage 1—방치 단계: 횡보 Stage .. 주식 매도 전략 : 이익이 난 주식의 매도 내게 큰돈을 벌어줬던 것은 내 생각이 아니었다. 비결은 엉덩이들 딱 붙이고 앉아 있는 것이었다. – 제시 리버모어 It never was my thinking that made the big money for me. It was always my sitting. – Jesse Livermore “매수는 기술이요 매도는 예술이다.” 주식시장의 오랜 격언이다. 예술로 분류될 만큼 이익이 나는 포지션을 청산하는 것은 어렵다. 누구나 손실은 짧게, 수익은 길게 가져가야 한다는 것은 알지만 그것 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수익은 얼마나 길게, 또 얼마나 크게 가져가야 하는가? 이익 포지션 청산에 대한 아이디어를 한데 모아봤다. 잭 슈웨거, “기술적 분석 모르고 절대 주식투자하지 마라”, 이레미디어 책의 10장과 1.. Relative strength(상대강도) Relative strength(상대 강도, 이하 RS)는 가격 모멘텀을 측정하는 도구 중 하나다. RS가 높다는 것은 주식의 실적 또는 기대감을 시장이 인식했다는 신호다. RS는 그 지속성이 전제다. 계산(Calculation) 기간은 정하기 나름이다. 보통 주간/월간/연간 RS를 측정한다. 주로 지수대비 특정 주식의 퍼포먼스를 구한다. 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다. (Ending stock price/Beginning stock price) / (Ending index value/Beginning index value) Ending stock price : 측정 시점에서 주가 Beginning stock price : 시작 시점에서 주가 Ending index price : 측정 시점에서 지수 Begin..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