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최적의 타이밍/주식 거래하는 법(제시 리버모어)

2. 주가의 정상적인 움직임

 주가의 움직임은 다양한 조건 아래서 예측이 가능하다. 주가는 오르내리지만 명백한 추세를 형성하면 자동적으로, 그리고 지속적으로 특정 맥락(lines)을 따라서 움직인다. 주가의 정상적인 움직임은 다음과 같다.

주가의 정상적인 움직임

1. 움직임의 시작

 며칠간 큰 거래량을 동반한 점진적인 가격 상승을 겪는다.

 

2. 정상적인 조정

 상승기보다 감소한 거래량으로 조정을 거친다. 자연스러운 조정은 두려워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이상 움직임은 경계해야한다.

 

3. 재상승

 하루에서 이틀 사이에, 거래량 증가와 함께 움직임이 재개된다. 진짜 움직임이면 짧은 시간 내에 이전에 받았던 조정을 회복하고 신고 영역에서 거래된다. 이런 움직임은 강하게 며칠간 지속되어야 하며 미미한 장중 조정만을 받는다(minimal daily reactions)

 

4. 또 다른 정상적인 조정

 머지않아 정상적인 조정이 기대되는 영역에 도달한다. 이번의 조정도 첫번째 것과 같은 맥락이어야 한다. 정상적인 조정은 주가가 명백한 추세를 탔을 때 일어나는 움직임이기 때문이다.

 

 첫번째 움직임에서는 전고점과 신고점간의 격차가 크지 않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빨리 상승한다.

 

예시

 -50에서 점진적 상승 -> 54

 -54에서 1~2일 동한 정상적인 조정 -> 52.5

 -52.5에서 다시 상승 ->59~60

 -59~60에서 정상적인 조정(1~3포인트). 며칠 뒤 재상승 시작. 그러나 거래량은 첫 움직임 보다 줄어 있다. 주식을 매수하기 더 어려워진다. 이 경우 주가 움직임은 더 가팔라진다.

 -전고점 60 -> 68~70. 정상적인 조정 없이 직행하거나 정상적인 조정 또한 폭이 커져서 65까지 떨어질 수 있다. 그러나 큰 폭의 조정 후 상승이 재개되기까지 많은 날이 소요되지 않아야 하고 이후 신고가에서 거래되어야 한다. 시간 요소(time element)가 고려된다.

위험신호

 만족스러운 이익을 보았다면 인내심을 가져서 수익을 극대화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위험 신호를 무시해서는 안된다. 위험신호는 다음과 같다

 

 -주가가 다시 오르고 하루에 6~7포인트 오른다.

 -다음 날에는 8~10포인트 오르면서 강세를 지속하다가 갑자기, 장 막판에 7~8포인트 하락한다.

 -그 다음 날 이어서 1포인트 가량 하락을 이어가지만 한번 더 상승을 시작하고 강세로 장을 마감한다.

 -그러나 다시 다음날, 어떤 이유에서든 전날의 강세가 이어지지 않는다.

 

 비정상적인 조정 또한 위험 신호로 받아 들여야 한다. 비정상적 조정이란 당일 최고가 대비 6포인트 이상의 하락이 상승을 시작한 이후로 최초로 있거나, 주가가 전체적인 장세에 비춰봤을 때 이상하게 움직이는 경우를 뜻한다.

 

 정상적인 움직임에서는 인내가 필요하고 비정상적인 움직임에서는 위험 신호를 존중하고 한 발짝 비켜서는 용기가 필요하다. 물론 이 위험 신호가 100프로 정확한 것은 아니다. 주가의 등락과 관련해서 100% 맞는 이론이란없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봤을 때 큰 수익을 안겨줄 것이다.

위험신호 또는 비정상적인 조정은 다가오는 기차와 같다. 당신이 선로 위를 걷고 있다고 가정해보자. 등 뒤에서 기차 소리가 들리거나 기차가 다가오는 게 보인다면, 일단 선로에서 비켜서서 기차가 지나가기를 기다려야 한다. 기차가 지나간다면, 당신은 언제든 다시 선로에 오를 수 있음을 기억하자. 

 그러나 대부분의 투기꾼들은 위험 신호를 감지했을 때 용기 있게 팔지 못한다. 그렇기에 원칙이 필요한 것이다. 원칙은 투기꾼이 무엇을 해야하는지 말해주기 때문에, 많은 돈을 지켜주면서 걱정 또한 없애준다. 인간적 면모는 투기꾼과 투자자의 최대의 적이다.

투기의 매력을 극복하는 법

 투기는 너무나 재밌는 일이다. 투기의 매력에 빠지면 매일 거래를 하지 않고는 못 버티며 매일의 작은 등락에 일희일비하게 된다. 그러나 수익을 내기 위해 매일 거래할 필요는 없을 뿐더러 매일의 작은 등락에 몰두하다가는 큰 움직임을 놓치기 일수다. 매일의 가격 움직임과 움직임이 어떻게 일어났는지를 기록하고, 거기에 시간 요소를 고려함으로써 투기의 매력을 극복할 수 있다.

 

<3일 전 데이터로 수익을 내던 투기꾼에 대한 일화>

 

 캘리포니아 산에 살면서 3일 지난 데이터만 받아 보면서도 엄청난 수익을 내던 투기꾼이 있었다. 그는 1년에 2~3차례만 주식 중개인에게 전화로 오더를 내렸다. 그가 한 말은 다음과 같다.

 

"저에게 투기는 비즈니스입니다. 만약 제가 이런 저런 일들로 혼란을 겪고 세세한 변화들에 정신이 팔렸다면 저는 실패했을 것입니다. 저는 이런 것들과 떨어져서 생각할 수 있는 곳에 머무는 것을 좋아합니다.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기록하므로써 시장이 무슨 일을 하는지 명확한 그림을 그릴 수 있었습니다. 진짜 주가의 움직임은 움직임이 일어난 당일에 끝나지 않습니다. 진짜 움직임은 끝나기까지 시간이 걸립니다. 저는 산에 있기 때문에 이런 움직임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줄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수익을 실현해야 할 때는 옵니다. 제가 기록하는 가격이 한동안 명백했던 동일한 패턴의 움직임을 따르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차릴 때 저는 결심하고 행동으로 옮깁니다."

 

Livermore, Jesse L. How to trade in stocks: The livermore formula for combining time element and price. Laurus-Lexecon Kft., 1940.